주식정보 | RBS BOARD

글보기
제목지금 매수해도 좋은 저평가 가치주 조건은?2025-04-29 18:14
작성자 Level 10

 

지금 매수해도 좋은 저평가 가치주 조건은?

하락장 속에서 기회를 찾고 계신가요? 아직 시장에 알려지지 않은 '진짜 알짜 종목'을 찾는 법, 지금부터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주식 시장을 보면 하루가 다르게 분위기가 바뀌는 것 같죠. 저도 최근 들어 ‘이 종목, 이제 오르기만 할 일만 남은 거 아냐?’ 싶다가도 다음날엔 또 분위기가 싸해지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실제 투자하면서 경험하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금 매수해도 괜찮을 ‘저평가된 가치주’를 고르는 조건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여러분도 저와 함께 ‘가치’ 있는 투자를 시작해보시죠.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

PER, PBR, PSR 같은 밸류에이션 지표는 가치주를 고를 때 빠질 수 없는 기본 중 기본이에요. PER(주가수익비율)은 말 그대로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죠. 보통 10 이하일 경우 저평가로 분류되지만, 업종 평균과 함께 보는 게 핵심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 이하일 경우 시장에서 기업 가치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어요. 단, ‘왜’ 낮게 평가됐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죠. 단순 숫자만 보면 함정에 빠지기 쉬우니까요.

재무제표로 확인하는 안정성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하잖아요. 그 중에서도 재무제표는 기업의 '건강검진서' 같은 존재에요. 이익잉여금,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을 보면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도 버틸 힘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

지표 의미 권장 기준
부채비율 총 부채 / 자본 100% 이하
유동비율 유동자산 / 유동부채 150% 이상

동일 업종 내 상대적 위치

PER이나 PBR 수치만 보는 건 반쪽짜리 분석이에요. ‘동일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가 진짜죠. 예를 들어 반도체 기업인데 PER이 8이라면? 경쟁사들은 20 넘는 경우도 많은데 말이죠.

  •  동일 업종 평균 PER/PBR 확인 필수
  •  경쟁사 대비 수익성 비교
  •  시장점유율 변화 체크

 

내부자 매수와 기관 수급

가장 정확한 정보는 어디서 나올까요? 기업 내부죠. 그래서 CEO나 이사 등 내부자가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다면? 이건 말 그대로 “우리 회사 지금 싸게 평가받고 있어요”라고 말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기관투자자의 매수도 마찬가지예요. 장기 보유 목적의 매수인지 단기 트레이딩인지는 구분해서 봐야 합니다.

고배당주로서의 메리트

저평가 가치주 중에는 ‘배당’이라는 또 하나의 보너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있어요. 요즘같이 금리가 불안정한 시기엔 안정적인 배당 수익만으로도 투자 매력이 충분하죠.

종목명 배당수익률 배당 지속 여부
A사 6.2% 5년 연속
B사 4.8% 10년 이상

시장 트렌드와 상승 모멘텀

아무리 저평가라도 시장에서 외면받으면 상승은 어렵습니다. 최근 트렌드에 발맞춘 산업에 속해 있고, 뉴스나 리포트에서 자주 언급되며,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면? 상승의 신호일 수 있어요.

  •  최근 뉴스에 자주 언급되는가?
  •  주가와 거래량이 동시에 상승하고 있는가?
  •  기술적 지표가 우상향을 나타내는가?

 

Q PER이 낮으면 무조건 좋은 주식인가요?

PER은 저평가 지표일 수 있지만, 업종 평균과 실적 지속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낮은 PER이 곧 우량주는 아니에요.

Q 저평가 가치주와 성장주의 차이는 뭔가요?

가치주는 현재의 수익성과 자산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말하고, 성장주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에요.

Q 고배당주는 무조건 좋은 선택인가요?

배당률이 높아도 재무구조가 약하거나 일회성일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배당 지속성이 중요합니다.

Q 내부자 매수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DART 전자공시나 증권사 리포트, 기업 IR 페이지 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저평가주는 언제 매수하는 게 좋을까요?

시장이 과도하게 하락해 투자 심리가 위축됐을 때가 오히려 기회일 수 있어요. 너무 급등한 이후는 지양해야겠죠.

Q 가치주 투자는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최소 6개월~1년 이상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가치 투자는 기다림의 미학이라고도 하죠. 지금 당장 빛을 보지 않더라도, 충분한 분석과 확신을 갖고 접근한다면 언젠가는 빛을 발하는 순간이 옵니다. 여러분도 지금 이 순간이 바로 저평가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타이밍일지도 모릅니다. 오늘 소개한 조건들을 기준 삼아 나만의 종목을 한 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